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 이 누리집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누리집입니다.

확대수치
글자크기 100%

개인정보 보호위원회

개인정보보호 국외동향 게시판 상세 테이블

개인정보보호 국외동향 게시판 상세 테이블로 제목, 작성부서,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내용의 정보를 제공

제목 미국: NIST, S/W 업데이트 및 패치 리스크 관리 강화
작성부서 국제협력담당관 작성자
작성일 2025-09-10 조회수 29
페이지 URL

미국: NIST, S/W 업데이트 및 패치 리스크 관리 강화


미국 NIST는 조직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패치 안전성 제고를 위한 SP 800-53 개정을 발표함.
로깅 구문·근본 원인 분석·사이버 회복성 설계 등 신규 통제 항목을 신설하고 기존 통제를 보완함.


◆ 개정 배경 및 경과

-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NIST)는 2025년 8월 27일 안전한 소프트웨어 개발 관행과 패치 운영의 균형을 지원하기 위해 정보시스템 및 조직의
보안·개인정보 보호 통제 카탈로그(NIST SP 800-53)를 개정했다고 발표함.

- 이번 개정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와 패치 배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위험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도록 통제 체계를
보완한 것으로, 국가 사이버보안 강화를 위한 대통령 행정명령 제14306호* 이행 조치에 해당함.

* 행정명령 제14306호(국가 사이버보안 강화를 위한 선별된 노력 유지): 사이버 위협 행위 국가의 범위를 확대하고 소프트웨어
공급망 보안 등 연방 사이버보안 정책을 간소화하는 내용으로, 트럼프 행정부가 2025년 6월 6일 발표

- 개정판은 공개 참여 절차를 통해 마련되었으며, 최종 개정 내용은 사이버보안 및 개인정보 참조 도구
(Cybersecurity and Privacy Reference Tool, CPRT)에 반영됨.


◆ 신규 통제 항목 및 기존 통제 보완 방향

- 개정안은 패치 관련 위험 식별·완화, 무결성 검증, 운영 연속성 확보를 위해 ▴로깅 구문(Logging Syntax,
SA-15) ▴근본 원인 분석(Root Cause Analysis, SI-02(07)) ▴사이버 회복성 설계(Design for Cyber
Resiliency, SA-24)라는 신규 통제(Control) 항목을 추가하고 기존 통제를 보완함.

- 로깅 구문은 보안 관련 사건 기록의 전자 형식을 정의하여 사고 대응 자동화와 재구성 효율성을 강화함. 또
한 근본 원인 분석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문제와 실패 원인을 검토하고, 시정계획 수립 및 실행을 요구함.

- 아울러 사이버 회복성 설계 항목은 공격 상황에서도 핵심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예측·대응·복구 역량을
설계 단계부터 내재화하도록 함. 그밖에 기존 통제의 기술적 요소와 구현 예시를 갱신해 조직의 배포 전 시
험, 배포 후 모니터링, 구성 관리 및 검증 활동의 구체성을 높였음.


◆ 이행지원 체계 및 의견 수렴 절차

- NIST는 개정 통제를 CPRT에 반영하는 동시에, 조직이 개정 사항을 시스템·제품·서비스에 신속히 적
용할 수 있도록 JSON**과 OSCAL*** 형식으로도 배포함.

**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시스템 간 데이터 교환을 위해 키-값 쌍으로 구조화된 경량 텍스트 데이터 포맷

*** OSCAL(Open Security Controls Assessment Language): 보안·개인정보 보호 통제 및 평가 산출물을 기계판독 가능
하게 표현하기 위해 NIST가 개발한 공개 표준 언어

- 공개 참여 절차는 의견수렴 기간 동안 실시간 피드백과 상시 제안 제출을 허용해, 기술 변화 속도에 부
합하는 민첩한 개정과 투명한 이해관계자 조율을 가능하게 했음.


◆  평가 및 전망

- NIST는 이번 개정을 통해 사이버 위협 대응 역량을 제도적으로 강화하고, 조직이 기술 변화 속도에
발맞추어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함.

- 특히 기계판독 형식 제공과 공개 참여 절차는 국제적으로도 선도적 접근으로 평가되며, 표준의 적용 용이
성과 투명성을 동시에 제고하는 효과가 있음.

- 따라서 이번 개정은 안전한 소프트웨어 공급망 관리와 사이버 회복성 제고라는 글로벌 과제를 지원하는
중요한 진전으로 평가됨.


출처: USA: NIST revises security and privacy control catalog (Dataguidance, 2025.08.29.)

       NIST Revises Security and Privacy Control Catalog to Improve Software Update and Patch Releases (NIST, 2025.08.27.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