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확대수치
글자크기 100%

개인정보 보호위원회

다시 대한민국! 새로운 국민의 나라

해명자료 게시판 상세 테이블

해명자료 게시판 상세 테이블로 제목, 작성부서,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내용, 첨부파일의 정보를 제공

제목 (보도정정) 개인정보 보호법은 국내·외 첨단 모빌리티 사업자에게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작성부서 대변인 작성자 권선정
작성일 2023-08-29 조회수 582
첨부파일 목록
첨부파일 230829 (보도정정) 개인정보 보호법은 국내·외 첨단 모빌리티 사업자에게 동일하게 적용됩니다(신기술개인정보과).pdf 다운로드
첨부파일 230829 (보도정정) 개인정보 보호법은 국내·외 첨단 모빌리티 사업자에게 동일하게 적용됩니다(신기술개인정보과).hwpx 다운로드
페이지 URL
(보도정정) 개인정보 보호법은 국내·외 첨단 모빌리티 사업자에게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 8월 29일자 이데일리 기사(테슬라는 안면정보 맘대로 수집하는데... “국내 기업은 불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드립니다.


한-미 간 통상 조약으로 국내 규제가 역차별을 야기한다는 내용은 사실이 아님. 양국이 참여 중인 한-미 FTA는 데이터 국외 이전에 대한 일반적인 원칙들에 대해서 규정하고 있으나, 국내 법 적용을 예외하는 조항을 두고 있지 않음. 이에 따라 테슬라 등 외국 기업의 경우도 우리 국민의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한 국내 「개인정보 보호법」을 준수해야 함

또한 미국의 경우*도 우리나라와 유사하게 자율주행·배달로봇 등의 학습을 위해 개인정보를 가명·익명처리하여 활용하고 있음
* 테슬라의 개인정보처리 방침에 따르면 차량의 내외부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은 익명 처리하며, 소유주 동의 없이 외부 전송 불가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그간 자율주행, 드론 등 관련 산업 활성화 지원을 위해 이동형 영상기기 학습을 위한 개인정보 처리를 규제샌드박스 등을 통해 허용해왔으며, 최근 「개인정보 보호법」 개정(’23.9.15. 시행)으로 이동형 영상기기의 운영 근거를 마련한 바 있음. R&D 등 기술개발 지원도 병행하고 있으며 향후에도 첨단 모빌리티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노력을 지속할 예정임


* 기타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 담당자 : 신기술개인정보과 정종일(02-2100-3066), 국제협력담당관 김성은(02-2100-2482)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