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개인정보 보호위원회

글자크기 100%

목적

  • 데이터 경제 시대에 정보주체의 권리를 두텁게 보호하고 안전한 활용을 지원하기 위해 개인정보에 특화된 보호·활용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R&D) 추진

비전 및 추진방안

- 비전 : 개인정보 보호와 안전한 활용을 통한 정보주체의 권리 보장, - 목표 : 누구나 안심할 수 있는 개인정보 보호·활용 혁신기술 개발, - 3대전략 6대 추진방향(1. 정보주체의 권리보장 강화 → ①정보주체의 동의·인식 없는 개인정보 수집 방지 기술 개발, ②열람·정정·전송 등 정보주체 자기결정권 보장 기술 개발 2. 개인정보의 유·노출 위험 최소화 → ③개인정보 처리 생애주기별 보호기술 개발, ④온·오프라인을 아우르는 개인정보 침해 예방 기술 개발 3. 개인정보의 안전한 활용 지원 → ⑤가명처리 등 안전활용 정책과 연계된 기술 수요 반영, ⑥빅데이터 등 신기술에 요구되는 개인정보 보호·활용 기술 개발), - 기대효과 : (시장 확대)개인정보 보호·활용 시장 개척, (인력 양성)개인정보 전문 기술 인력양성 및 일자리 창출, (R&D 기반 마련)개인정보 특화 R&D 연구 기반 마련, (정책 연계)법·제도 준수↔활용 간 상호보완 체계 마련

주요내용

개요

  • '개인정보 보호·활용 기술분류체계'와 국내·외 기술 및 표준화 동향 등을 고려하여 수립
  • ① 정보주체 권리보장, ② 유노출 최소화, ③ 안전한 활용 등
    3대 분야 11대 핵심기술과 37개의 세부기술 포함한 향후 5년간 연구개발 계획을 포함

개인정보 보호·활용 기술 R&D 로드맵(2022-2026)

다운로드



주요 핵심기술

옆으로 밀어 확인해 주세요.
개인정보 보호·활용 기술 R&D 로드맵(2022-2026) 주요 핵심기술을 중분류(분야), 핵심기술, 내용의 정보를 제공
중분류(분야) 핵심기술 내용
정보주체
권리보장
  1. ① 개인정보 동의 관리 기술
개인정보 수집·이용 제공에 대한 동의 및 동의 철회 등 정보주체의 동의 관리 지원
  1. ② 정보주체의 온라인 활동기록 통제
SNS, 온라인 쇼핑 등에서 정보주체의 동의없는 활동 기록 수집이나 추적 방지
  1. ③ 다크웹 개인정보 거래 추적 및 차단 기술
다크웹에서 개인정보가 불법적으로 유통·거래 되지 않도록 모니터링 및 차단
유·노출
최소화
  1. ④ 비정형 데이터 개인정보 탐지
온라인 상에서 유통되는 텍스트·영상·음성에서 개인정보 탐지
  1. ⑤ 개인정보 파편화 및 결합 기술
개인을 알아볼 수 없도록 개인정보가 포함된 자료를 분해하여 저장하고, 필요한 경우에만 결합해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
  1. ⑥ 비정형 데이터에서 선택적 개인정보 파기
개인정보 보존기간에 따라 자동 파기, 텍스트·영상·음성에서 원하는 개인정보만 파기 등
안전한
활용
  1. ⑦ 차세대 가명·익명 처리 및 결합 기술
안전한 데이터 분석·활용을 위해 가명·익명처리와 결합 지원
  1. ⑧ 가명·익명 정보 안전성 평가
가명·익명 정보의 재식별 가능성을 측정하여 안전성 평가
  1. ⑨ 개인정보 변조 및 재현데이터 생성
실제 데이터와 유사한 모의 데이터를 생성하여 인공지능 학습 시 개인정보 노출 최소화
  1. ⑩ 프라이버시 보존형 개인 맞춤 서비스
개인정보를 노출하지 않고도 특정 자격을 증명하거나, 다양한 개인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
  1. ⑪ 마이데이터 처리 및 관리 기술
마이데이터가 안전하게 전송·관리될 수 있도록 종합적으로 지원

기술개발 로드맵

3대 분야 11대 핵심기술과 37개 세부기술 상세내용,  1. 정보주체 권리보장(① 개인정보 동의 기술 : (2022~2026) 개인정보 동의 관리 플랫폼, (2024~2025)개인정보 동적 동의 기술(4년) ② 정보주체의 온라인 활동기록 통제 : (2022~2025)검색 등 맞춤형 온라인 활동기록 통제 기술 개발 및 검증, (2024~2025)개인위치정보 자율 통제 기술, (2025~2026)온라인 활동기록 통합 관리 플랫폼(3년), ③ 다크웹 개인정보 거래 추적 및 차단 기술 : (2023~)다크웹 접속 및 개인정보 검색 기술, (2024~)다크웹 개인정보 불법거래 추적 기술(5년)) 2. 유·노출 최소화(④ 비정형 데이터 개인정보 탐지 : (2022~2024)대화형 텍스트 데이터에서 개인정보 탐지 기술, (2022~)영상 데이터에서 개인정보 탐지 및 동일객체 연결 분석 기술, (2023~)음성 데이터에서 개인 식별 및 개인정보 탐지 기술, (2025~)혼합형 비정형 데이터에서 개인정보 통합 탐지 기술(4년), ⑤ 개인정보 파편화 및 결합 기술 : (2022~2023)이미지 기반 신분증 파편화 및 결합 활용 기술, (2023~)디지털 의료영상데이터의 영상-환자정보 분리 및 복원 기술, (2024~)재결합 가능한 영상데이터 분리 기술(4년), ⑥ 비정형 데이터에서의 선택적 개인정보 파기 : (2023~)보존기간 연동형 개인정보 자동 파기 기술, (2024~)반정형 대화형 데이터에서 개인정보 선택적 대체 및 삭제 기술(4년), (2024~)관계된 개인정보의 일괄 파기 기술(4년), (2025~)영상 데이터에서의 선택적 개인정보 삭제 기술), 3. 안전한 활용(⑦ 차세대 가명·익명 처리 및 결합 기술 : (2022~2024)실시간 트랜잭션 데이터의 가명·익명처리 기술, (2023~)통계 및 암호 기반 차세대 가명·익명처리 기술, (2023~)다중 관계 결합키 생성 기술, (2024~)동형암호의 가명·익명화 효능 측정 기술(5년), (2025~)결합키 보존형 신뢰 결합 기술, ⑧ 가명·익명정보 안전성 평가 : (2023~)가명·익명정보 재식별 공격 모델 분석 기술, (2023~2025) 반정형 텍스트 데이터의 처리 수준 측정 기술, (2024~) 비정형 정보의 처리 수준 측정 기술, ⑨ 개인정보 변조 및 재현데이터 생성 : (2023~2024)통계 보존형 수치데이터 재현 기술, (2024~)형태 보존형 재현데이터 생성 기술, (2024~)음성 개인정보 변조 기술), ⑩ 프라이버시 보존형 개인 맞춤 서비스 : (2022~)영지식증명 기반 개인 증명 기술, (2023~)동질집합 기반 연합학습 기술(FLoC), ⑪ 마이데이터 처리 및 관리 기술 : (2022~2024)마이데이터 신뢰 전송 기술, (2023~2025)마이데이터 활용 지원 기술, (2023~2025)마이데이터 통합 관리 플랫폼)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