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확대수치
글자크기 100%

개인정보 보호위원회

다시 대한민국! 새로운 국민의 나라

개인정보보호 국외동향 게시판 상세 페이지

개인정보보호 국외동향 게시판 상세 테이블로 제목, 작성부서,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내용의 정보를 제공

제목 EU, Meta의 ‘유료 또는 동의’ 모델에 관한 예비 조사 결과 발표
작성부서 국제협력담당관 작성자 이소민
작성일 2024-07-30 조회수 748
페이지 URL

EU, Meta의 ‘유료 또는 동의’ 모델에 관한 예비 조사 결과 발표


EU 집행위원회(EC)가 Meta의 ‘유료 또는 동의(Pay or Consent)’ 모델이 디지털시장법(DMA) 위반에 해당한다고 잠정 결론


일반적으로 온라인 플랫폼은 자체 서비스 및 타사 서비스를 통해 개인정보를 수집하여 온라인 광고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

- 특히 게이트키퍼*들은 큰 디지털 영향력을 가진 만큼 서비스 이용약관 부과를 통해 방대한 사용자 개인정보에 접근할 수 있어, 이러한 액세스 권한이 없는 경쟁사보다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기가 유리함

* DMA의 규제 대상인 게이트키퍼(gatekeeper)는 시장지배적 영향력을 지닌 핵심 플랫폼 서비스 보유 사업자로,  Alphabet(Google), Amazon, Apple, ByteDance, Meta, Microsoft가 이에 해당

- 다만 DMA 제5조제2항은 게이트키퍼*가 사용자의 동의 없이 핵심 플랫폼 서비스(CPS)에서 수집한 개인정보와 기타 서비스를 통해 수집한 개인정보를 결합하는 것을 명시적으로 금지하고 있음

- 게이트키퍼는 사용자가 개인정보 결합에 동의하지 않을 경우 개인정보 수집·활용을 최소화한 동등한 대안을 제공할 의무가 있으며, 사용자의 동의를 서비스 또는 특정 기능 이용을 위한 조건으로 제시할 수 없음


Meta는 EU에서 지난 3월 시행된 DMA에 대응하고자 ’23년 11월, EU 역내 Facebook 및 Instagram 사용자를 대상으로 두 가지 선택권을 제시하는 ‘유료 또는 동의’ 모델을 도입

- (유료 구독) 월정액 10유로를 지불하는 대가로 맞춤형 광고가 없는 ‘깨끗한’ 버전의 서비스를 이용

- (광고 동의) 개인정보 수집을 기반으로 한 맞춤형 광고 제공에 동의하는 조건으로 서비스 무료 이용

 

검토 결과, EC는 Meta의 해당 모델이 DMA 제5조제2항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다고 잠정 결론

- Meta의 모델은 사용자에게 맞춤형 광고 기반 서비스와 동일한 수준이면서 개인정보 수집·활용을 최소화한 서비스를 차선책으로 제공하지 않음

- 또한, Meta는 사용자가 개인정보의 결합에 대해 자유롭게 동의를 행사할 권리를 보장하지 못함

- 따라서 EC는 Meta가 이같이 사용자에게 이분법적 선택을 요구하는 방식이 사실상 사용자에게 정보 제공을 강요하는 위법 행위라고 판단


Meta가 DMA 규정을 위반한 것으로 최종 확정될 경우, 전 세계 총 매출액의 최대 10%에 해당하는 과징금이 Meta에 부과될 예정

- 만약 동 위반 행위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매출액의 최대 20%까지 과징금이 부과될 수 있음

- 한편, EC는 지난달 Apple과 Microsoft에 대해서도 DMA 위반이라는 잠정 결론을 내린 바 있으며, 현재 Google과 OpenAI에 대한 조사를 진행 중임


출처

∙Commission sends preliminary findings to Meta over its “Pay or Consent” model for breach of the Digital Markets Act (EC, 2024.7.1.)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