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확대수치
글자크기 100%

개인정보 보호위원회

카드뉴스 게시판 상세 테이블

카드뉴스 게시판 상세테이블로 제목, 작성부서,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첨부파일, 페이지 URL, 내용 등 정보를 제공

제목 [정책언박싱]「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관리체계 간편인증」제도 시행
작성부서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작성자
작성일 2024-08-01 조회수 731
첨부파일 목록
페이지 URL

중소기업의 정보보호 인증부담 완화를 위한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관리체계 간편인증」
제도가 7월 24일부터 시행됩니다👏👏

그동안 중소기업들은 현행 ISMS 및 ISMS-P 인증제도가
인증항목이 많고 비용이 많이 들어
인증 취득·유지가 어렵다고 호소해왔는데요

이러한 중소기업의 어려움을 해소하고자
중소기업의 규모 및 특성에 따라
완화된 인증기준과 비용으로 인증 취득할 수 있도록
ISMS 및 ISMS-P 간편인증 제도가 도입 되었습니다!

간편인증 제도 과연 어떠한 내용이 간편하게 바뀌었는지
상세한 내용은 카드뉴스로 확인해 주세요!

  • 내정보는지키고 안전하게 즐겨라! 개인정보위 정책 언박싱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중소기업의 정보보호 인증부담 완화를 위한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 보호관리체계 간편인증 제도 시행 7월 24일 시행 LOCK & ROLL 2024.7.23. LOCK스타
  • 시행 목적 중소기업들은 현행 ISMS 및 ISMS-P 인증제도가 인증항목이 많고 비용이 많이 들어 인증취득·유지가 어렵다고 호소 중소기업의 규모 및 특성에 따라 완화된 인증기준과 비용으로 인증 취득할 수 있도록 ISMS 및 ISMS-P 간편인증 도입 개인정보보호위원회
  • 여기서 잠깐! ISMS 및 ISMS-P 인증제란? 주요 정보자산보호를 위해 기업이 구축·운영 중인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관리체계(예: 보안정책·인력·장비·시설 등)가 인증기준(관리적·기술적·물리적)에 적합한지를 인증(정보통신망법 제47조, 개인정보보호법 제32조의2) 하는 제도입니다! ISMS 인증을 기본으로, 개인정보보호 항목을 추가한 ISMS-P로 구분됩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
  • ISMS 및 ISMS-P 간편인증 이렇게 시행됩니다! 1 간편인증 적용대상 정보통신서비스 부문 매출액 정보통신서비스 부문 매출액 100~300억원의 중소기업 300억원 이상의 중기업 *주요 정보통신설비 미보유 기업 (웹호스팅서비스 •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자) 간편인증 적용제외 대상 상기 적용 대상 기업 중 국민생활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 집적정보통신시설 사업자, 일부 상급종합병원·대학교, 금융회사, 가상자산사업자 개인정보보호위원회
  • 2 간편인증 인증기준 개편 내용 실질적 정보보호 활동을 하도록 핵심적 필수항목은 유지하되 중소기업 수준에서 불필요한 항목은 삭제 또는 완화하였습니다 (개편전) ISMS 관리체계 수립·운영(16개) 총 80개 보호대책 요구사항(64개) ISMS-P 관리체계 수립·운영(16개) 총 101개 보호대책 요구사항(64개) 개인정보 요구사항(21개) 개편후) 정보통신서비스 부문 매출액 300억원 미만의 중소기업 정보통신서비스 부문 매출액 300억원 이상, 주요 정보통신설비 미보유 중기업 ISMS 관리체계 수립·운영(7개) 총 40개 보호대책 요구사항(33개) ISMS 총 44개 관리체계 수립·운영(11개) 보호대책 요구사항(33개) ISMS-P 총 62개 관리체계 수립·운영(8개) 보호대책 요구사항(33개) 개인정보 요구사항(21개) ISMS-P 총 65개 관리체계 수립·운영(11개) 보호대책 요구사항(33개) 개인정보 요구사항(21개) |개인정보보호위원회
  • 3 간편인증 수수료 절감 효과 인증기준 간소화에 따라 종전 대비 약 40~50% 수준으로 절감되고 인증 준비에 필요한 기업의 제반 비용도 감소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ISMS 인증 수수료 ISMS-P 인증 수수료 기존 기존 800~1,400만원 간편인증시 400~700만원 약 50% 절감 개인정보보호위원회 1,000~1,800만원 간편인증시 600~1,100만원 약 40% 절감
  • 간편인증 도입을 통해 기업의 자율적인 개인정보보호 노력이 강화 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